과학기술윤리
- 작성자 관리자
- 작성일 2021-01-22
- 조회수 2,941
- 영문 명
과학기술윤리
Ethics of scientific knowledge and technology과학, 기술과 철학의 윤리학 분야가 소통하게 되는 학문 영역 1).
과학자 기술자의 연구·기술윤리와 생명윤리·환경윤리·정보윤리 등을 포함한다 2). 유네스코에서도 인간 복제, 유전자 조작 등 과학기술 발전이 초래할 사회적인영향에 대해 윤리적 성찰을 하기 위 해 '세계과학기술윤리위원회(COMEST)'라는자문기구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3). 과학기술윤리와 관련한 정보는 매체 접근성이 용이한 온라인 환경에서 다양한 의견표출 및 유통의 과정을 통해 사회적 파급효과를 갖는다. 정책 형성과정에 사회적 관심 유도, 아젠다 형성 및 문제해결 등 의 긍정적 영향과 다수 의견 오도, 여론 왜곡 등의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4).
-
역량 연결 예
윤리와 보안
-
역량 수행의 모습
과학기술의 발달은 생활의 편의와 더불어 기술윤리, 정보윤리에 대한 문제를 야기됨을 인식하고 비판적으로 판단한다.
이 주제를 다룰 수 있는 성취기준
- 초 [6미01-05]
- 중 [9수05-03], [9과24-02], [9기가04-18]
- 고 [12과사04-01], [12과사04-02], [12과사04-03]
참고문헌
- 1) 정광수. (2017). 과학기술윤리연구. 파주 : 한국학술정보.
- 2) 두산백과. (n.d.). 네이버백과 ‘과학기술윤리’ < https://terms.naver.com/entry.nhn?docId=1225481&cid=40942&categoryId=31532 > 에서 2019년 10월 09일 검색.
- 3) 굿모닝미디어. (n.d.). 네어버백과 기관단체사전 종합 ‘세계과학기술윤리위원회’ < https://terms.naver.com/entry.nhn?docId=813106&cid=43133&categoryId=43133 > 에서 2019년 11월 03일 검색
- 4) 정익재. (2018). 네트워크 환경에서 과학기술위험에 대한 위험커뮤니케이션 특성과 일반인의 위험 인식 및 대응행동의 상호작용분석. 한국정책학보, 27(1), 281-303.